Apple iCloud와 Google, Cloud Computing Metaphor 비교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6월 6일 있었던 WWDC 오프닝 키노트에서 자사의 iOS 플랫폼을 새로운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인 iCloud와 밀접하게 결합하도록 플랫폼의 진화를 선언했다.

일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주로 스토리지 즉, 저장소 중심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어서, 왜 KT 같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스토리지 중심으로 바라보나 (혹은 광고하나?) 하는 의문이 있었는데, 애플의 iCloud 발표는 또하나의 다른 시각을 보여주는 셈이었다.

스티브 잡스가 설명하는 애플의 iCloud 메타포

클라우드 컴퓨팅을 어떻게 이해하면 좀더 쉽게 개념(mental image)을 잡을 수 있을까? 그리고 구글과 애플, 기타 다른 기업들의 접근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까?
추상적 개념은 은유법만큼 이해하기 쉬운 게 없고, 또 잘 만들어진 은유 체계는 사고의 깊이를 더하고 더 발전시킬 수가 있다.
조금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감이 있지만, 개괄적 수준에서 이해해주기 바란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 기술을 보는 게 아니라 활용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이므로 전문 지식 없이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메타포(은유 체계)
흔히 클라우드라고 부르는 것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뜻하는 것인데 단순화해서 표현하자면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의미하고 컴퓨팅은 개념적인 컴퓨터의 연장선 상에 있다.

메인프레임, 유닉스 혹은 퍼스널 컴퓨터(PC)에 익숙해진 컴퓨팅 개념을 클라우드로 확장시키려면 컴퓨팅의 요소들을 식별해보면 쉬운데 대표적 요소는 1. 프로세서 즉 계산 장치, 2. 장기 기억 장치 즉 저장소(스토리지), 그리고 3. 이 환경에서 실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단순화하면 첫번째 요소인 프로세서에는 PC의 경우에 CPU와 메모리, 캐시 등의 요소들이 모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즉, 프로세서라고 분류한 영역은 계산 능력을 가지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기능을 설명하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요소이다.
두번째 요소인 스토리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겠지만, 보통의 경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로 구분할 수 있다.
세번째 요소는 프로그램, 실제 실행 가능한 논리들을 가지고 있는 단위이다. 보통 프로그램 프로그램용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고 볼 수 있다.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에 절대적인 기여를 한 기업으로 구글을 들 수 있다. 구글은 현재 회자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술적 토대를 구현하고 또 그 기술을 공개하는 등 대단한 기여를 해왔다.
앞의 세 가지 분류에 따라 구글의 클라우드 접근을 정리해보자.

1. 프로세서
구글에게 있어 클라우드 프로세서는 실제 클라우드로 구성되는 서버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MapReduce와 같은 클라우드 상의 동시 처리 기술을 가지고 이에 맞게 설계된 프로그램들이 실제 클라우드에서 실행된다.

2. 스토리지
프로그램 정보도 서버의 확장 개념이라고 볼 수 있는 클라우드 상에 위치하고,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 역시 클라우드 상에 위치한다.

3. 프로그램
구글의 클라우드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는 기존 서버 프로그램의 확장이라고 볼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의 프레임웍(PAAS, Platform as a Service)인 Google AppEngine 같은 형태로 혹은 다른 수많은 서비스 API들로 프로그램들을 좀더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구글에게 클라이언트 즉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은 웹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웹은 서버에서 주로 실행되는 사용자 인터랙션 처리 코드를 가장 잘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다.

구글의 크롬 넷북은 이러한 클라우드를 사용자에게 잘 전달해줄 수 있는 휴대용 콘솔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 스토리지, 프로그램이 거의 모두 서버 개념의 확장인 클라우드에 위치하기 때문에 콘솔 자체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은 점점 더 웹 표준과 서버쪽 기술에 집중한다. 이런 측면에서 안드로이드 모바일 플랫폼의 현재 모습은 애플의 iOS와 경쟁하기 위해 현실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점점 더 웹 콘솔의 역할이 강화될 일종의 전이기transition period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바일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크롬 넷북의 성격을 받아들이는 길을 택할 것이다.

애플의 iCloud
이번에 발표된 iCloud는 일반화되어 있는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각과는 조금 다른 측면을 볼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분산 컴퓨팅과 서버쪽 기술에서 출발한 구글과 개인화된 클라이언트 컴퓨팅에서 출발한 애플의 특성 차이라고 느꼈다.

1. 프로세서
애플은 클라우드 상에서 실행되는 서비스나 앱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여전히 로컬 클라이언트의 CPU에서 대부분의 프로세싱을 처리한다.
프로그램의 주된 형태도 여전히 개인 컴퓨팅 기기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앱이나 애플리케이션이다.

2. 스토리지
애플의 프로그램 스토리지는 예전처럼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기기에 있고, iCloud는 프로그램 바이너리의 백업 역할을 한다.
데이터 스토리지는 클라이언트 기기에도 있지만, 점점 더 클라우드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클라우드의 역할이 커질수록 로컬 스토리지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캐시처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3. 프로그램
전통적인 로컬 앱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클라우드 스토리지 활용이 쉬워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구글의 경우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들이 주 프로그램이고 웹이나 앱으로 작성된 사용자 인터랙션 부분은 단순 콘솔 개념의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지만, 애플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앱이 핵심 역할을 여전히 수행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는 애플에겐 그야말로 서버 기반 서비스이며 로컬 앱과는 다른 지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애플도 공식적으로는 HTML 5 표준 기반의 웹 앱 지원에 대한 적극 지원을 약속하고 있긴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웹앱에 큰 비중을 두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애플 iCloud와 구글, 미래는 구름 속
애플의 iCloud는 기존의 클라이언트 컴퓨팅 기조를 유지하면서 프로세싱과 스토리지 측면에서 최대한 클라우드의 장점을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iOS 플랫폼의 보완 측면이 강하다.
구글처럼 모든 것을 클라우드에서 처리할 수 있다고 보는 근원적인 발상의 전환과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어느것이 더 낫고 못하는가의 문제는 아니다. 여전히 구글은 네트웍은 신뢰할 수 없다network is unreliable는 네트웍 기반 컴퓨팅의 근원적인 약점을 해결 혹은 보완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 드러나고 있듯이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정보가 한 곳에 모일 경우 개인 정보에 대한 보호, 보안 문제가 해커 뿐만 아니라 정보 당국 압력에 의해서도 위태로와지는 단점도 보인다.
애플의 iCloud는 구글의 컴퓨팅 패러다임 전이처럼 놀라운 일은 아니다. 다만 애플이 해왔던 클라이언트 기반 컴퓨팅 플랫폼의 관점에서 클라우드의 장점을 매우 자연스럽게 결합해내고 있다. 구글이 혁명이라면 애플 iCloud는 개혁 수준이라고 할까.
개인적으로 클라우드의 미래는 아직 완벽하진 않다고 생각한다. 구글 크롬북과 같은 크고 작은 실험들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따라 달라질 것 같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Java] Java G1 GC의 특성에 따른 Full GC 회피 튜닝 방법

일론 머스크의 First Principle Thinking (제1원리 기반 사고)

엄밀한 사고(Critical Thinking)란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