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9의 게시물 표시

아이디어는 가장자리에서 발생한다

이미지
그림의 중심과 에지 사이의 거리는 복잡성의 정도를 표현한 것이다. 아이디어는 항상 복잡한 영역에서 발생하지 않지만, 현재 지식 수준의 경계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거듭된 사고를 끝까지 한다면 누구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다.

기술 조직의 매니저는 얼마나 많이 필요할까

기술 조직에서 매니저는 얼마나 많이 필요할까. 관리 편의를 위해 일찍 매니저가 된 친구들은 스스로 기술 개발을 하지 못하고 관리와 다른 팀원들의 연구 결과를 간접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는 업무를 할수밖에 없는데 지식 체계의 기반이 부족해지고 스스로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잃게 마련이다. 물론 관리도 재능이 필요한 영역이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학습할 수 있는 영역이다. 연구 전문성에 대한 코칭이나 리딩은 금새 학습할 수 있는 게 아니어서 결국 다른 상위 관리자의 의사결정에 기대게 되기도 한다.  너무 이른 매니저 역할은 전문가로 성장할 기회를 잃기 쉽다는 뜻이다. 기술직을 시작한지 1,2년만에 팀장이 되면 준비없이 관리와 기술 의사결정에 관여하게 된다. 결국 형식적인 패턴에만 익숙해질 가능성이 높다. 이십년 가까이 IT 업종에서 일을 하고 매니저 역할만 했던 이가 얘기를 해보면 전혀 생각의 깊이가 없는 경우를 볼 때가 가끔 있다. 외부에서 보기엔 훌륭하고 성실한 매니저로 비춰지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전혀 무언가를 스스로 이해하고 판단하는 환경에 있지 못했던 것이다. 그냥 패턴적으로 조건반사하듯 의사결정을 반복하고 기술적 피드백을 이해하지도 못하는 모습은 웃프다.  한국은 위계적 문화 때문에 위계 상의 윗 사람이 진정으로 뭘 학습하기가 쉽지 않다. 개인적 성실성으로 한다고 해도 비평해줄 사람이 거의 없다. 깊이있는 의사결정을 할수 있는 오픈된 토론 회의 문화도 큰 역할을 하겠지만 너무 일찍 매니저들을 만들기보다는 관리를 자율 책임에 많은 영역을 넘기고 매니저를 줄이는 방식이 유의미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경우 의사결정자의 윗쪽으로 갈수록 조금 더 큰 인내심을 필요로 할수 있다. Bottom-up이 활성화되면 top-down은 이해시키는 비용을 포함해야 한다. 위계의 계층을 줄일 수 있는 자율 단위 규모가 최대 100명 남짓이라면 그 정도 안에서 대부분의 크리티컬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셈이다. (젊은 친...

왜 ‘최고’ 인재들이 창의력 없는 결과를 내놓을까

이미지
원 글 :  Why hiring the ‘best’ people produces the least creative results 관련 도서 :  The Diversity Bonus How Great Teams Pay Off in the Knowledge Economy 창의적인 팀웍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나름 재미있는 관점을 제공해주는 글이 있어 소개한다. 한글로 번역한 글을 읽었는데 원 글에 나오는 통계학적 기법이나 마르코프 프로세스를 이해못해서 핵심을 잘못 전달했기에 원 글을 읽어보길 추천한다. 글은 수학 전공한 교수님이 논리학 수업 시간에 교통 체증을 컴퓨터로 모델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교통 체증 상태의 차량의 흐름을 추적하는 건 엄청난 메모리와 연산량을 필요로 하게 된다. 교수님은 이런 경우엔 빈 도로를 추적하면 된다고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교통 체증 상황에서 빈 도로의 흐름을 추적하도록 모델을 만드는 아이디어이다. 이러한 아이디어 이야기들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1.  복잡한 문제이다. 차원이 높은 문맥을 다루기 때문에 설명하기도, 엔지니어링하기도, 개선하거나 예측하기도 까다롭다. 2.  획기적인 아이디어는 마법처럼 떠오르거나 완전히 새롭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기존의 아이디어, 직관, 기교나 룰에서 출발하며 이것들을 참신하게 적용을 한 것이거나 결합한 것이다. 앞의 교통 체증 사례는 정보 이론의 최소 서술 길이minimum description length 즉, 같은 정보를 가장 짧게 기술하는 기법 개념을 참신하게 적용한 사례라고 볼수 있다. 이러한 아이디어들은 조금의 이득을 가져온다. 하지만 이런 아이디어들이 모이게 되면 커다란 반향을 가져올 수가 있다. 진보는 거대한 도약 만큼이나 작은 걸음들의 누적을 통해서도 크게 이루어진다. 3. 이런 아이디어들은 그룹 환경에서 태어난다. 한 사람이 어떤 문제에 대해 자신의 관점을 얘기하고 해결에 대한 접근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