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의 게시물 표시

소프트웨어 개발팀

그러고 보니 벌써 나이가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는 환갑을 넘었다고 한다. 여전히 소프트웨어 코더로서 살고 있는 자신을 보면 다행스럽다. 현 직장인 티맥스소프트를 힘들지만 좋아하는 가장 큰 이유일 테다. 엘리트로 구성된 팀을 조직하고 이끄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어느 조직에나 엘리트가 있고, 또 그 엘리트 조직에서도 엘리트와 아닌 그룹이 분화되기 마련이다. 돌아보면, 소프트웨어 회사가 역동적으로 움직일 때에는 엘리트 그룹이 활발하게 움직일 때이다. 물론 엘리트들은 어디에서나 어느 정도 이상의 성실성을 보이게 마련이다. 입만 바른 자칭 엘리트들을 제외하면 말이다. 하지만, 회사가 어려워질 때에는 엘리트들도 움직이지 않는다. 불필요하고 스트레스 덩어리인 이야기들만 무성하다. 가장 이상적인 조직은 가장 앞선 그룹이 가장 열성적으로 자신의 일을 하는 조직이다. 조금 처진 그룹이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기술적으로, 능력과 열성으로 앞선 그룹이 자신의 일을 잘 해나가면 이 조직은 비전이 있으며, 소프트웨어는 발전한다. 아마도 소프트웨어가 아닌 부분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조금 더 바라자면, 조금 처진 그룹의 성원들이 엘리트 그룹으로 도약하고자 모두 성실한 경우이겠지만, 항상 그러한 성원은 많지 않으며, 실제 그렇게 해서 엘리트 그룹으로 도약하는 성원은 더욱 찾기 어렵다. 대단한 노력을 통해 엘리트 중의 엘리트로 거듭나는 경우가 가끔 보이지만... 마지막으로 뒤에 처진 그룹의 경우는 조심해야 한다. 이 그룹들을 어떻게 최소로 관리하느냐가 엘리트 위주의 개발 모델에서 성패의 관건이다. 이런 그룹이 거의 없는 경우가 가장 좋은 경우이다. 티맥스소프트의 R&D가 지향하는 것이 이런 모델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어느 정도는 스스로 발전의 가능성을 닫아버린 성원들의 그룹이 존재하는데, 이들이 뒷 담화에 열중한다면 그 조직은 위기를 맞게 된다. 회사가 내리막길에 들어설 때의 징후로 이러한 뒷 담화(!)가 지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엘리트 모델이 항상 최고의 소프트웨어를 만들

언제나 마지막일 것 같은 고비를 만난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항상 공격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때로는 그 예측이 크게 어긋나 목표로서의 가치를 잃기도 하고, 때로는 주관적인 조건이 따라주지 못해 지키지 못하기도 하고... 항상 이렇게 개발 데드라인과 delivery 일정 속에 절박한 심정으로 자신을 돌아본다. 때로는 미칠 것 같은, 때로는 쓰러질 것 같은 압박을 느끼며 심리적 안정을 찾기 위해 이것저것을 해본다. 음악을 큰 소리로 틀거나, 산책을 하거나, 잠을 자거나(!), ... 힘들 때일수록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는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효율적이다. 가장 피해야 할 것은 자학적인 웹 산책이나 폭식 등 스스로를 더 힘들고 피곤하게 만들 것들이다. 때로는 아무 생각없이 반복적인 코딩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항상 코더에게 집중이 필요한 코드만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코딩은 더 지능적인 툴의 개발로 해결했으면 더 좋으려만 ^^;;) 자, 다시 가자, Cheer UP!

[Java] NoClassDefFoundError!

NoClassDefFoundError는 자바 실행 시에 ClassNotFoundException과 함께 심심찮게 만나게 되는 에러이다. 이 두 가지 에러는 조금 혼란스럽다. 클래스 경로에 클래스가 없을 경우, Class.forName("SomeClass")으로 찾을 경우 ClassNotFoundException이 발생하지만, new SomeClass()로 사용한 경우에는 NoClassDefFoundError가 나게 된다. 이 경우는 컴파일 시에는 존재했던 클래스 바이트 정의를 런타임 시에 찾지 못한 경우로 대표적인 NoClassDefFoundErorr의 발생 예이다. NoClassDefFoundError가 LinkageError의 자식 클래스인 것도 이를 뒷받침해준다. 이 외에도 NoClassDefFoundError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 Java VM에서 어떤 경우에 NoClassDefFoundError를 발생시키는지 유형을 정리해두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 혹은 판단에 도움이 될 것이다. VirtualMachine.redefineClasses : if the bytes don't correspond to the reference type (the class names don't match). ClassLoader.defineClass : 바이트 코드가 정의한 클래스 이름과 정의하려는 이름이 다를 경우 RMIClassLoader static initializer : RMIClassLoader 제공자 클래스를 찾지 못했을 때 rmi MarshalInputStream static initializer : rmi server를 위한 시스템 클래스를 찾지 못했을 때

Focus does matter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이는 존재는 그렇지 않은 존재의 30배 이상 기여를 한다고 흔히 말한다. 그 30배의 performance는 재능, 지식, 성실성 그리고 집중에 의한 문제 해결 능력의 차이에 있다고 보여진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계속적인 판단의 연속이다. 좀더 나은 코드를 위한, 좀더 나은 아키텍처를 위한 판단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하나의 결정을 내리기 위해 테스트 코드와 논리적 고심을 거듭하지만, 결국 이 결정이 제대로 동작하고 추후에도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결정 시의 집중이 중요한 고리가 된다. 논리적 혼란 속에서 '어 된다' 라는 방식의 판단은 결국 스파게티 코드를 양산하고, 비논리적 아키텍처를 만든다. 손의 노동에 의해 판단을 내리면 안된다. 중요한 결정일수록 사고의 집중을 활용한 판단이 그 소프트웨어의 가치를 높인다.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사람들의 가장 차별적인 특성은 바로 뛰어난 판단 능력에 있을 것이다. 주변을 돌아보면서 더 나은 코드를 더 빨리 생산해내는 코더, 아키텍트들을 발견하면 이러한 특질이 다른 누구와도 그들을 차별화시켜줌을 본다. 성실하게 투여한 시간도 중요하지만, 결국은 그 시간들 속에서도 집중해내는 능력이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만든다.

Open source and best-of-breed...

갈수록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에 많이 의존하게 된다. 어쩌면 피할 수 없는 흐름인지도 모른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분은 XML 처리에 관련된 것들이다. XML parser, XPath engine, XML-Java binding, ... 투자 대비 개선이 뚜렷하지 않은 부분에서 좋은 공개 소스를 가져다 쓰는 것은 개발 비용의 절감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쁘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수많은 공개 소스들로 인해 옥석을 가리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best-of-breed를 요구하는 제품의 핵심 부분을 공개 소스로 채울 경우 제품 자체의 수준이 떨어질 우려가 높아진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여서, 다양한 소프트웨어 요구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로 이어진다. 공개 소스도 대부분 특정 요구에서 출발하게 되며, 이후 점차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면서 일반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것은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다.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를 일반적 요구로 대체할 수 없듯이, 보다 특정한 요구에서 보다 잘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과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 모듈은 가끔씩 충돌하게 된다. 최고 수준의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 모듈을 잘 활용하는 것, 하지만 핵심적인 부분에서 잘 튜닝되고, 개선된 자체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공개 소프트웨어와 상용 소프트웨어를 비교할 때 흔히 리눅스가 솔라리스보다 나은가 하는 얘기를 하게 된다. (공개 소프트웨어 내에서도 리눅스와 FreeBSD를 비교하는 경우가 있지만...) 역시 요구에 따라 다른 판단을 내릴 수밖에 없으리라 생각한다. 보다 엄밀한 기업 환경에서 아직 리눅스가 솔라리스와 같은 상용 소프트웨어를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비용의 문제도 있지만, 소프트웨어 가격 문제를 배제하고 요구에 따른 질적 수준만을 고려할 때, 리눅스가 더 낫다고 얘기하는 것은 아직 무리라고 생각된다. (리눅스가 새로운 기술을 적극 수용하면서 하나의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

해야 함, 할 수 있음, 그저 맞섬, ...

정신 차릴 틈 없이 몰아치는 업무 상의 이벤트들 속에 정말 스스로의 존재감마저 놓치는 때가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이라는 것이 개발자의 품만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품화 정책과 영업 진행 상황 등의 긴장감 속에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어떤 무중력, 진공 상태의 개발이라는 말은 현실감이 없습니다. 하지만, 개발의 와중에서 준비가 미처 제대로 이루어지기 전에 외부적인 이벤트에 대처하는 일은 정말 힘든 일입니다. 경험이라는 것은 이런 와중에서도 이벤트에 대해 화풀이하지 않고 끝내 최선을 다해 제품의 성공적인 성취를 위해 목표를 향해 가도록 도와줍니다. 이것이 비정상적인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지요. 개발 성원들 중 모자라는 부분들이 항상 있기 마련입니다. 자칫 중요한 일을 감당할 능력이나 자세가 되어 있지 못한 성원에게 맡길 경우 엄청난 후과에 시달릴 때가 있지요. 과도한 이벤트성 목표를 향해 불나방처럼 달려갈 때도 그 후과가 엄청나구요. 몇 달을 이러한 복합된 사고들의 후과로 집에도 제대로 못들어가고 뒷감당하느라.. 멍해졌습니다. 집에서 밥 먹는 일이 무척이나 어색하고, 한 집에서 같이 살면서 아빠를 그리워 해야 하는 딸과 아들에게 가슴이 아픕니다. 그래도 해야 할 일은 해야 하겠지요. 할 수 있는 일인지 아닌지 여부를 가리는 일은 점점 더 어렵습니다. 혼자 다 하는 일이 아니어서, 사람마다 그 상태를 다 알기는 어려운 탓입니다. 마음가짐과 능력, 건강 상태... 일단 해야 할 일로 판명되었으면 최선을 다 해 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자리에서 쓰러지더라도, 조금은 효율이 떨어지더라도 책임있는 자리에 있기에 그저 맞서고 있어야겠지요. 소프트웨어 개발이 점점 더 힘들어지는군요. Best of breed product를 위해서는 코드 한 줄 한 줄에 정성을 쏟고, 고객과 시장에 절대적으로 헌신하며, 기술적인 미래를 담아내야겠지요. 쓰러지지 않기 위해서 개발 자체를 기쁨으로 하고 삽니다.

Open Source Software Business

오픈 소스의 거대한 흐름이 기성의 관념들을 뒤엎으면서 소프트웨어 비즈니스의 한 축으로까지 떠오른 것은 닷컴의 붕괴 이후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가장 큰 주목거리 중 하나일 것 같다. 오픈 소스가 가지고 있는 수많은 장점들과 매력들을 무시할 수 없으며 또, 수많은 자발적 전도사들까지 형성하여 웹을 떠돌며 지배적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 듯하다. 예전 MS가 수많은 공격적인 마케팅과 막대한 광고를 통해 우호적 개발자군을 형성하고, 광고 이미지를 제품의 품질이나 서비스로 믿게 하는 데 천재적인 재능을 보였던 그러한 일들이 오픈 소스 진영에서는 몇몇 옹호자들에 의해서 시작하고 자발적인 전도사들에 의해 인터넷을 점령하는 방식으로 일어나는 듯하다. 비용 하나 들이지 않고... 하지만, 순수하게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관점에서, 아니 내가 사업의 주체로서 오픈 소스를 바라본다면 정말 오픈 소스 사업은 수익성이 높은 사업일까? 오픈 소스와 비즈니스가 쉽게 win-win할 수 있는 것일까? 비즈니스의 관점에서 보면 MS의 광고만큼이나 오픈 소스의 비즈니스적 의미들은 hype이 아닐까?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를 살펴보면,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성공에는 한두명의 걸출한 해커가 있거나, 거대 기업들의 필요에 따른 끊임없는 투자가 있다는 특성을 보게 된다. 중소규모의 프로젝트는 열성적이고 능력있는 코더 하나 둘에 의해 좌우되게 마련이고, 좀 더 큰 규모의 프로젝트는 엄밀하게 시장과 소통하는 제품 개발 및 관리 프로세스를 갖춘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수없이 많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이 명멸하고, 그 대부분은 조용히 잊혀지고, 묻혀진다. 시기적으로 스폿라이트를 받는 기술들은 잠시 흥하다가, 스폿라이트가 지나가면 잊혀진다. 그런 와중에 새로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들이 등장하고 또 성공한다. 최근의 경우라면 JBoss를 들지 않을 수 없다. JBoss가 최고의 J2EE AS라고 생각하는 개발자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JBoss는 기업 환경에서 살아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