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13의 게시물 표시

SW 프로젝트를 일반적인 정량화하려는 시도는 오류

한 페친이 프로젝트 정량화에 대한 글을 올려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한 글들을 옮겨놓습니다. "왜 정량화를 하려는지 목적이 무엇인가요? 또 프로젝트 결과란 무엇인가요? 프로젝트별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각 목표는 있을 수 있겠지만 sw 프로젝트 일반에 대한 정량화란 말 자체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기 바랍니다. 가능한 것은 프로젝트별 목표이고 그나마 정성적인 요소들은 일반화된 기준의 수치화는 시도하는 게 무의미합니다." "SW 프로젝트 결과물이란 SI이거나 SW 솔루션이거나 서비스이거나 하겠지요. 그 결과물의 점수를 일반적으로 점수화한다는 시도 자체가 피겨 스케이팅의 점수 채점을 객관화하는 것과 왜 비슷하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구요. 그에 앞서 왜 점수화를 하려고 하는지 편의적인 발상이 아닌가 하는 부분입니다. 일반화한 정량화는 비교가 가능한 정량화인데 그것을 추구하는 의도가 무엇인가요? SW에서 가장 경계하는 것 중 하나가 단지 있으면 좋을 것 같은 것입니다. 왜 하는지 모르고 하는 거죠. SW가 그냥 일반적인 목적을 갖지 않는다면 SW를 일반화한 평가가 의미가 있는 걸까요? 비교 분석하려는 평가 목표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비교라는 건 엄밀한 제약 조건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단순 논리에 의한 일반화의 오류가 보이기 때문에 얘기했습니다. SW에 대한 일반화된 정량화보다는 목표의 엄밀한 설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SW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책인데 목적과 무관한 일반화된 평가 지표.. 그것은 비현실적인 생각인데 그것을 일반화하려는 무리한 시도 자체가 SW의 질적 수준을 저해한다고 생각합니다. 국내 SW 정책이 그런 정량주의에 기반하고 있죠. SW가 아닌 SW공학이 SW 정책을 입안하고... SI 프로젝트와 같이 SW 수준이 중요하지 않은 프로젝트에서나 가능한 걸 일반화하기도 하고.." "프로젝트 결과를 정량화하는 게 도덕적 사회적 기준으로 한다는 걸

오픈 소스와 기술 능력에 대한 단상

10년전 얘기지만 면접볼 때 DB를 만든다고 한 친구가 있었다. 그 친구 말을 들어보니.. postgresql을 사용하고 일부 버그 리포트를 보내는 경험을 가진 친구였다. 왜 그는 스스로를 DB creator라고 착각하고 있었을까 하는 의문을 가졌었다. open된 source code를 들여다보고 이해하게 되고 또 이슈 리포트나 수정한 코드를 커뮤니티에 보낸다고 그 사람이 그러한 모듈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건 아니다. maintain과 create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회사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maintain해야 할 코드의 양과 제품 수가 많이 늘어났지만 제품의 아키텍처와 성격을 이해하면 (혹은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maintain은 대부분 가능했다. 하지만 scratch부터 무언가를 만들어야 하는 건 달랐다. 새로운 제품을 만든다는 건 훨씬 더 어려운 일이며, 새로운 버전을 만든다는 것도 maintain과는 비교할 수 없는 어려운 일이다. open source를 통해 핵심 기술이 우리 것이 되는 것처럼 착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냥 그렇지 않다. 그 open source의 새 버전을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핵심 모듈을 코딩할 수 있을 때 우리 것이 되는 것이다. 다만 아키텍처라도 충분히 이해하는 데서 출발했으면 한다. create나 evolve를 할 능력은 안되더라도 use는 할 수 있다. 그건 사실이다. use는 대부분 그렇게 어렵지 않으며 코드 이해도 어느 정도의 훈련만 되어 있다면 대부분 필요 기능 중심으로 파악이 가능하다. 하지만, use하고 있다고 혹은 일부 repair하고 있다고 create할 능력이 생겼다고 착각하진 말았으면 좋겠다. 그건 좀 많이 다르다. 설계와 구현 능력이 어디서 뚝 떨어지지 않는 이상..

코딩에 대한 단상

벌써 4월 하순이다. 열흘만에 제품 하나 프로토타이핑을 하겠다고 했는데 곧 한달이 다 되어간다. 다행히 due date이 한달 정도 연기되어서 여유(?)가 생긴 것도 있고 현실적으로 주중에는 일정이 너무 빠듯하여 코딩을 하긴 어려워 주말 중심으로 코딩을 하다보니.. (주중엔 정말 혼절하는 일이 잦고.. ㅠ_ㅠ) 그래도 그와중에 진전이 되고 다시 코더로서의 흐름이 되살아나고 있다. 역시 믿을 건 내가 짠 기존 코드들.. ㅠ_ㅠ 설계를 상당히 상세한 수준으로 진행하고 난 다음에 top-down으로 코딩을 스크래치부터 시작하는데.. 코딩을 하면서 느끼는 안타까움은 설계를 열심히 하는 연구원들 중에 코딩을 못하는 친구들이 종종 있다는 것.. 물론 설계도 팀 회의 수준에서 편하게 발표할 때와 세미나 형식으로 앞에 나와서 할 때는 차이가 많이 나고.. 세미나 형식에서는 역시나 논리적 발표를 못하는 문제가 보통 보이지만... 문제가 뭘까 많이 생각해보고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고민 중인데 현재까지 판단은 1. 앉아서 하는 팀 발표는 개별 사안을 산발적으로 편하게 얘기해도 다 이해하고 보통은 공통된 지식 기반이 많아서 일부 이슈만 가볍게 터치하면 되지만, 서서 하는 세미나는 좀더 큰 주제를 깊이있게 얘기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훨씬 큰 논리성을 요구한다. 부담도 크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서도 bottom-up과 top-down을 통해 개념 모델을 여러 번 다음어야 하는데 이런 일을 부담스러워하고 실제로 잘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다. 논리가 산발적이고 나열적인 수준이라고 할까. 2. 그런 데로 작은 이슈들을 모아서 어느 정도 설계가 된 후에도 코딩을 전혀 시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왜 이럴까 생각을 해보면.. 설계는 큰 개념 모델을 통해 논리를 전개하지만 코딩은 철저하게 bottom 수준에서 시작해야 한다. task를 가능한 한 쪼개서 해야 하고 여러 개의 task를 동시에 머리에서 전개하면 진행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