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decision making인 게시물 표시

일론 머스크의 First Principle Thinking (제1원리 기반 사고)

이미지
제1원리 기반 사고, First principle thinking. 첫번째 원리로부터 생각하기 혹은 제일원리 기반 사고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형이상학이란 책에서 언급한 것으로 더 이상 추론될 수 없는 원칙에서부터 추론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예를 들어 Unmoved mover 즉 우주에 최초의 움직임을 만든 무언가는 움직임이 없었어야 한다는 추론이 이러한 원칙 하에서 추론된 것이다. 수학에서 공리에서 출발하는 것과 같은 논리인데 일론 머스크가 SpaceX를 만들면서 제일원칙에 기반한 사고 실험을 사용하였다고 언급하면서 의사결정의 원칙 혹은 문제해결의 방법론으로서도 많이 언급된다. 일론 머스크의 First Principle Thinking 머스크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된다. 화성에 가야겠다고 목표를 세운 머스크가 첫번째 마주한 문제는 천문학적인 로켓 가격이었다. 머스크는 물리학에서 배운 제1법칙 기반의 사고를 이 문제 해결에 적용하기로 했다. “물리학은 유추가 아닌 제1원리로부터 추론하는 것을 가르쳐준다. 좋다, 제1원리들을 한번 들여다보자. 로켓은 무엇으로 만들지?  우주항공산업 등급의 알루미늄 합금들과 약간의 티타늄, 구리, 탄소 섬유이다. 다시 생각해봤다. 일반 상품 시장에서 이 물질들 가격은 얼마쯤 하나? 로켓에 사용되는 재료들 가격은 로켓 일반 가격의 약 2%에 불과했다.” 머스크는 원 재료를 사서 직접 로켓을 만들기로 했고 SpaceX를 세웠다. SpaceX는 1/10 가격으로 로켓을 만들면서도 수익을 내고 있다. 제1원리 기반의 사고를 머스크는 진실이라고 생각되는 좀더 근원적인 부분으로 내려가서 거기에서부터 다시 의사결정에 이르는 논리를 쌓아올리는 문제 해결 과정으로 적용한 것이다. 진리와 근원적 사고 사람은 수많은 참으로 믿은 불확실한 가설들이나 관성으로부터 판단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중요한 의사결정을 좀더 근원적인 진위로부터 추론하는 것은 더 나은 해결 방법, 더 높은 진위 추정의 확률을 위해 매우 유용한 방법...

매니지먼트 코칭

신입 코칭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장시간 직접 챙기는 편이지만 생각해보면 매니지먼트에 대한 코칭이 훨씬 더 중요할 수 있다. 경험적으로 매니저들에 대해서는 코칭보다는 기대치만 부여해서 전체 조직이 비효율적이 되거나 중요한 문화적 자산을 단절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술 조직에서 코칭은 기술에 대한 측면이 강하고 기술에 관한 협업적 의사결정의 사례 경험의 성격도 강하다. 곰곰 생각해보면 기술 축면의 코칭이란 전공 요소들을 반영하는 것이라 개인의 상당한 학습 노력과 결합하거나 기반 지식을 갖추고 있을 것을 요구한다. 매니지먼트에 대한 코칭은 그런 전제 조건이 약하기 때문에 훨씬 쉽고 효과도 클 가능성이 있다. 매니지먼트는 의사결정의 원칙에 대한 것이고 이 원칙이 무엇이어야 할지를 세워보도록 경험을 쌓는 게 코칭의 핵심일 수 있다. 의사결정이 계속 관행이나 주어와 목적 없는 프로세스에 의한 것이라면 누구도 새로운 상황에서 혹은 새로운 인적, 환경적 조건에서 의사결정 기준을 정리하고 이에 따라 판단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기준을 명시적으로 세워보지 않으면 친소 관계나 관행이 중요한 기준이 될수밖에 없다. 의사결정을 원칙을 세우고 판단하는 과정은 대부분 2,3회면 충분히 학습할 수 있다. 사람을 특별히 싫어해서 독단적 의사결정에 의존하는 경우나 의사결정 자체를 못하는 특수하게 적성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수년에 걸친 노력을 축적해야 하는 기술 관련 학습에 비해 정말 효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좋은 의사결정은 각 문맥별로 요구하는 사항이 다르고 그 적응력은 개인차가 있겠지만 많은 경우 충분히 가치있는 의사결정을 할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