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Source Software, 기부 그리고 국가 정책
Open Source Software에 대한 여러 가지 찬반이 있는데 어느 한쪽 방향으로 판단하기는 쉽지가 않다.
공개라는 점은 공유를 전제로 한다.
오픈 소스 운동이 공개를 통해 공유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소프트웨어 혁신의 출발점 수준을 넓혀온 점은 분명하다.
그런 반면 소프트웨어 저작 활동이 지식 노동이기 때문에 지적 노동의 가치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측면에서는 여러 가지 복잡한 관점이 뒤섞인다.
많은 경우 단순히 기부의 관점으로 바라본다. 지적 노동을 공유 자산화하는 관점이다. GPL, LGPL, Apache/BSD License 등은 분명 그러한 측면이 강하다. 자산을 사적 이익으로 파생화하는 것을 허용하느냐 안하느냐의 관점 차이가 있지만 이렇게 공개된 소스들이 다수의 이익을 위한 기부가 된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그 기부가 개인적 기부인지 혹은 상업 회사가 고용한 저작의 기부인지의 차이는 있다.
하지만 이렇게 노동이 보상되지 않는 기부라면 직업적 노동으로는 한계가 있다.
소프트웨어 저작이 직업화되지 않고 기부 활동에 그친다면 그것은 오히려 새로운 소프트웨어 혁신을 저해하는 것 아닌가.
순수한 잉여 시간 노동의 기부를 하는 전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있고, 또 상대적으로 직업적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운 학생들의 적극적인 기부도 있다.
그외에 상업적 이익을 간접적으로 올릴 수 있는 구글 같은 기업도 적극적으로 공개 소프트웨어 활동을 통한 지적 노동의 기부에 참여한다.
애플, 오라클, IBM과 같은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공공재화된 공개 소프트웨어들을 활용하고 또 일부 기부를 통해 공개 소프트웨어의 결과물들을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활동을 하기도 한다.
기부가 아닌 경우도 존재한다.
일부 제한된 기능에서만 활성화된 커뮤니티를 통해 협업적으로 기부를 하고, 핵심 기능들은 상업용으로 비공개하는 방식을 통해 제한된 커뮤니티 버전만 기부하고 그 커뮤니티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상업용 버전은 판매함으로써 커뮤니티를 제한적으로 공유하고, 활성도를 통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소프트웨어 정책을 국가적으로 공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기부는 직업적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잉여의 시간을 활용하여 하거나 아니면 전문 기업들이 필요에 의해 기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니면 뛰어난 학생들이나 공유를 신념으로 하는 엔지니어의 기부가 있을 것이다.
"왜?" 어떤 목적으로 하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의 문제가 공유되지 않아서였던가? 공유 자체는 국적이 없지만, 결국 각 소프트웨어별로 몇몇 핵심 엔지니어들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국적이 현실적으로는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어떻게 그런 핵심 엔지니어들을 양성하고 또 그들의 잉여를 기부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보면 정말 우리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실이 이러한 공유로의 기부를 주도하고 새로운 혁신을 만드는 처방이 국가적으로 공개 소프트웨어 사용을 강제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잉여가 없는 사회에서 잉여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을 사용하도록 강제한다는 것, 그냥 소프트웨어 포기 정책은 아닐까 싶다.
P.S 소프트웨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오픈 소스를 하면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버그도 없어지고 quality도 높아지는 것처럼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뛰어난 엔지니어들이 참여하는 관심이 높은 일부 프로젝트만 코드 퀄리티가 높아지고 그렇지 않은 대부분의 공개 코드들은 무관심 속에 그저 공개만 되어 있을 뿐이다. 상용보다 공개 소프트웨어가 더 퀄리티가 높을 것이라는 주장은 비현실적이다. 그렇지 않다면 공개 소프트웨어의 M/A 서비스가 상업성을 가질 수 없을 것이다.
댓글